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항해 99 Day 10 - 알고리즘 3일차

항해 99

by KOBe24 2021. 11. 11. 02:04

본문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문제에는 2가지의 조건이 주어진다. 문자열 s의 길이가 4, 6이라는 점과 숫자로만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 

문자열 s에 숫자가 아닌 문자가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위해 strs.split 하여 문자가 담겨있는 배열로 만들어줬고, 

길이가 4혹은 6인지를 확인하는 조건문을 통과한 테스트에 한해서

반복문을 통해 문자열에 s에 배열 strs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했다.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indexOf() : 배열안에서 내가 찾고자하는 문자를 찾고 찾은 문자의 인덱스 번호를 리턴한다. 

 

 

길이가 n이고, "수박수박수박수...."와 같은 패턴을 유지하는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n이 4이면 "수박수박"을 리턴하고 3이라면 "수박수"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n의 값이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판별해 서로 다른 조건을 부여했다. 

짝수인 경우 n의 나누기 2를 하여 나온 값을 repeat의 인자로 넣어 n / 2 번 str을 반복하도록 하였고, 

홀수인 경우 n의 나누기 2를 한 값에 올림을 하여 정수로 만들어주고 slice 메소드로 뒤에서 0번째 인덱스를 삭제하였다.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indexOf의 속성중에 배열 속에서 인자로 부여받은 값을 찾지 못하면 -1을 리턴하기 때문에
완주자배열속에 참여자의 이름이 없으면 해당 참여자에 이름을 answer에 할당하고 리턴했다.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문제를 처음풀 때, 하나 이상의 공백을 생각하지 못해서 2개 이상의 공백일 때의 변수를 처리하지 못했다. 

그래서 2개 이상의 공백이 나온 후 문자가 나오면 뒤에 나오는 짝수 인덱스와 홀수 인덱스의 순서가 바뀌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래서 count라는 변수를 만들어 인덱스를 지나갈 때 마다 1씩 증가하도록 만들었고, 공백을 지나갈 때는 

0으로 초기화시켜 홀수인덱스와 짝수인덱스가 바뀌는 경우를 처리하였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